2025 국기원 세계태권도한마당, 미국 애너하임서 화려한 부활
2025 국기원 세계태권도한마당이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 컨벤션센터에서 7월 17일부터 19일까지 사흘간 열린다. 32개국 2,000여 명이 참가해 15개 종목 153개 부문에서 태권도의 가치를 선보인다.
🔽🔽🔽🔽🔽
🚀아래 버튼을 통해 ⭐ 바로 정보를 알아보세요! 🚀
🔼🔼🔼🔼🔼
이번 한마당은 17년 만에 미국에서 개최되며 ‘태권도로 하나 되는 세상’ 기치를 내걸고 지구촌 태권도 가족의 축제를 만든다.
개요와 개최 배경
⭐ 30년 전통의 태권도 축제
2025 한마당은 제30회를 맞아 미국에서 재개된다. 17년 만에 미국 개최로 현지 태권도 활성화를 도모한다. 32개국 2,000여 명의 선수와 가족이 한자리에 모인다. 이 행사는 품새, 격파, 시범, 태권체조 등 다양한 종목을 통해 태권도의 전통과 창의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세계 최대 규모의 축제입니다. 특히 겨루기 중심의 기존 방식을 지양하고 태권도의 본질적 가치를 확대하여 국제적 교류와 발전을 촉진하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경연 종목 구성
본 대회는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나뉘며, 개인전은 △위력격파 △기록경연 △공인품새 △창작품새 △호신술 △종합격파로 이루어진다. 단체전에는 △공인품새 △호신술 △태권체조 △창작품새 △팀 대항 종합경연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종목이 참가자들의 기량과 창의력을 동시에 평가한다. 153개 부문에서 각국 대표들이 화려한 기술을 선보인다. 격파와 품새, 태권체조 등 태권도의 모든 면모를 경험할 수 있다. 각 종목은 심사 기준에 따라 정확성, 난이도, 표현력 등을 종합 평가하여 시상한다.
개막식 및 시범 공연
7월 18일 오후 6시(현지시간) 개막식에서는 국기원 태권도시범단이 화려한 시범을 펼친다. 1시간 30분간 이어지는 공연이 대회 열기를 고조시킨다. 세계 각국 참가자와 관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이 열린다. 전통 무예와 현대적 퍼포먼스가 조화를 이룬 무대가 준비된다. 이 시범은 태권도의 예술적 가치와 호신술 요소를 결합하여 관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길 것이다.
- 국기원 태권도시범단의 고난도 기술 시연
- 전통 태권무와 현대적 안무 결합 퍼포먼스
- 참가국 대표 시범단 교류 공연
참가국 및 참가자 현황
⭐ 미국 포함 전 세계 32개국 2,000여 명 참가 이번 대회에는 대한민국, 미국, 프랑스, 일본, 이란, 스페인 등 32개국이 참가하며, 각국 대표 선수와 지도자, 가족을 포함해 2,000여 명이 행사에 참여한다. 세계 각지의 태권도 가족이 하나의 무대에서 경쟁과 교류를 동시에 즐긴다. 참가자들은 문화 교류 세션과 네트워킹 시간을 통해 친목을 다진다.
참가국별 명단과 세부 인원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각국 고유의 의상과 퍼포먼스도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경기 일정 및 운영
대회는 7월 17일 예선, 18일 본선 및 개막식, 19일 결선 및 시상식으로 진행된다. 각 세션은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 7월 17일: 위력격파·기록경연 예선
- 7월 18일: 공인·창작 품새 본선 및 개막식
- 7월 19일: 종합격파·단체전 결선 및 시상식
- 매일 문화 교류 세션 및 네트워킹
- 시상식 후 폐막 공연
결론
2025 국기원 세계태권도한마당은 30회를 기념해 17년 만에 미국에서 개최되며, 전통과 창의가 어우러진 태권도의 모든 가치를 선보인다. 32개국 2,000여 명이 모여 겨루기 외에도 격파, 품새, 시범, 체조 등 다양성을 경험하고, 문화 교류를 통해 글로벌 무예로서의 태권도가 한층 확장되는 계기를 만들 것이다.
2025 국기원 세계태권도한마당 FAQ
Q. 한마당 개최 장소와 일정은?
A. 2025 국기원 세계태권도한마당은 7월 17일부터 19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예선, 본선, 결선을 거쳐 15개 종목 153개 부문에서 시상이 이뤄진다.
Q. 참가 종목과 부문은 어떻게 구성되나?
A. 개인전은 위력격파, 기록경연, 공인·창작 품새, 호신술, 종합격파로 나뉘며, 단체전은 공인품새, 호신술, 태권체조, 창작품새, 팀 대항 종합경연을 포함한다.
Q. 참가 등록 및 관람 방법은?
A. 참가 등록은 국기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진행하며, 관람 신청도 온라인 사전 등록을 통해 가능하다. 현장 등록은 별도 좌석 여유 시 가능하다.
목차